포항시의 한 노인요양원에서 불이 나 10명이 숨지고 17명이 부상하는 어처구니없는 참사가 발생했다. 희생된 이들은 모두 70대 이상의 여성들로 치매를 앓거나 거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들이었다. 이런 까닭에 2층짜리 건물에서 일어난 불에도 미처 대피하지 못한 채 그 자리에서 연기를 마셔 참변을 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이번 참사를 보면서 우리사회가 노인들을 어떻게 모셔야 하는가라는 해묵은 고민을 다시금 떠올리게 된다. 전통사회에서는 노인 봉양이야 당연히 자식들의 의무였다. 하지만 이 시대에는 각 가정이 나이 든 부모를 모시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는 게 현실이다. 자식 부부가 맞벌이하는 일이 일반화해 집에서 노부모를 온종일 모시기가 어려워졌다. 게다가 농촌과는 달리 도시에서는 지역공동체 기능이 사라져 옆집 사람이 숨져도 몇 달 뒤에야 알게 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즉 노인 봉양이 이제는 개인 또는 가정의 차원에서 벗어나 사회가 책임질 일이 돼 버렸다. 그런데도 지난해 말 기준으로 2600여곳에 이르는 노인 요양시설이 그동안 제대로 관리되었는지는 의문이다. 국가에서 지급하는 지원금을 노려 마구잡이로 문을 연 노인요양원이 적지 않은 실정이다. 요양원들이 과연 제 몫을 하는지 이번 일을 계기로 관계 당국이 세밀하게 살펴야 한다.
아울러 이번 참사는 우리 사회에 보내는 하나의 경고장이기도 하다. 겨울만 오면 대형 화재가 일어나 숱한 인명을 잃는 뼈아픈 경험을 우리는 연례행사 치르듯 겪고 있다. 올해도 일찌감치 추위가 닥치자마자 이 같은 비극이 벌어졌다. 각 가정은 물론이고 특히 공중시설은 화재 예방에 부족한 점이 없는지 샅샅이 살펴 포항에서와 같은 비극이 더이상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소방 당국도 철저한 점검 활동으로 화재 예방에 만전을 기해주기 바란다.
이번 참사를 보면서 우리사회가 노인들을 어떻게 모셔야 하는가라는 해묵은 고민을 다시금 떠올리게 된다. 전통사회에서는 노인 봉양이야 당연히 자식들의 의무였다. 하지만 이 시대에는 각 가정이 나이 든 부모를 모시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는 게 현실이다. 자식 부부가 맞벌이하는 일이 일반화해 집에서 노부모를 온종일 모시기가 어려워졌다. 게다가 농촌과는 달리 도시에서는 지역공동체 기능이 사라져 옆집 사람이 숨져도 몇 달 뒤에야 알게 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즉 노인 봉양이 이제는 개인 또는 가정의 차원에서 벗어나 사회가 책임질 일이 돼 버렸다. 그런데도 지난해 말 기준으로 2600여곳에 이르는 노인 요양시설이 그동안 제대로 관리되었는지는 의문이다. 국가에서 지급하는 지원금을 노려 마구잡이로 문을 연 노인요양원이 적지 않은 실정이다. 요양원들이 과연 제 몫을 하는지 이번 일을 계기로 관계 당국이 세밀하게 살펴야 한다.
아울러 이번 참사는 우리 사회에 보내는 하나의 경고장이기도 하다. 겨울만 오면 대형 화재가 일어나 숱한 인명을 잃는 뼈아픈 경험을 우리는 연례행사 치르듯 겪고 있다. 올해도 일찌감치 추위가 닥치자마자 이 같은 비극이 벌어졌다. 각 가정은 물론이고 특히 공중시설은 화재 예방에 부족한 점이 없는지 샅샅이 살펴 포항에서와 같은 비극이 더이상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소방 당국도 철저한 점검 활동으로 화재 예방에 만전을 기해주기 바란다.
2010-11-1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