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종섭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이 협력과 공유의 정신은 구독률과 광고비 감소로 고전하는 종이신문에 중요한 시사점이 된다. 누구와 협력하고 무엇을 공유할 것인가를 고민해 보면 종이신문의 어려운 상황은 위기이기보다는 기회가 될 것이다. 다시 말해 언론의 위기보다는 언론의 진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핵심은 독자이다. 필자는 이전 칼럼에서 독자를 뉴스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노력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신문은 이미 독자투고, 기고, 자유게시판, 가족신문 제작 등의 서비스를 홈페이지에서 운영하고 있다. 독자와의 거리를 좁히겠다는 긍정적인 시도이다. 그러나 독자와의 협력과 공유를 강화하려면 독자층에 대한 분석을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게 어떨까 싶다.
국내 신문사들의 홈페이지를 보면 연혁과 조직, 관련 서비스 등 홍보자료는 쉽게 볼 수 있지만 정작 중요한 독자 정보는 찾기 어렵다. 어떤 사람들이 신문을 보는지, 핵심 독자층은 누구인지 등은 궁금증으로만 남을 뿐이다. 지난 7월 18일로 창간 107년을 맞이한 서울신문은 독자 자료를 활용해 잠재 구독자층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서울신문 독자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설문조사를 해 연령층, 거주지, 정치적 성향, 소득 등 항목별로 독자들의 특징을 제시하면 흥미로울 것이다.
독자와의 협력과 공유의 정신에는 뉴스시장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뉴욕타임스, USA투데이 등 미국 일간신문들은 지면의 폭과 길이를 대폭 줄여서 발행하는데, 이들 신문을 반으로 접으면 국내 무료신문보다 작다. 종전의 크고 두꺼운 신문은 휴대하기 번거롭다는 점과 온라인 뉴스를 즐기는 독자 성향을 고려한 것이다. 이와 함께 종이신문 외양을 간소화해 신문제작비용을 줄이고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에 제공되는 온라인 뉴스를 강화하려는 의도도 깔렸다. 미국 신문시장과 국내 신문시장의 구조가 다르지만, 이 같은 지면 크기의 축소를 서울신문도 고려해 볼 만하다. 지면에 실리는 광고가 작아지지만, 지하철 무료신문 독자층이 있는 만큼 시도해봄 직하다. 최종 결정에는 독자와 광고주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종이신문 구독에 고품격 전문뉴스 서비스를 연계해 제공하는 방식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종이신문을 구독하는 독자에게 지면과 홈페이지에는 없는 고급 뉴스를 ‘애플리케이션’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올해 7월 11일 기준으로 국내 스마트폰 서비스 가입자 수는 1500만명을 넘어섰고(서울신문 7월 14일 자),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6개월 미만의 신규 이용자 수를 보면 40대가 20대와 30대를 앞섰으며 50대 이용자 비중도 상당하다(서울신문 7월 26일 자). 이를 참작하면 종이신문과 고급 뉴스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연계하는 것은 가능성이 있다. 뉴스의 속성이 기자가 쓰고 이를 전달하는 강의 방식에서 독자의 입맛을 좇는 개인화로 바뀌고 있어 신규 독자층을 확보할 수 있다. 뉴욕타임스는 홈페이지 뉴스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홈페이지 뉴스와 태블릿 PC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한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언젠가는 종이신문 판매대는 사라지고 종이신문은 도서관이나 애독자의 집에서만 볼 수 있게 될지 모른다. 그것이 신문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웹 창시자인 팀 버너스 리는 콘텐츠와 이를 담는 형태는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독자가 원하는 뉴스를 종이신문이나 온라인신문, 모바일신문 등 다양한 형태에 담을 수 있다. 그렇다면, 굳이 신문을 손으로 넘기면서 봐야만 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중요한 것은 독자와 협력하면서 뉴스를 만들고 결과물을 독자와 공유하는 방식을 제도화하는 것이다.
2011-08-3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