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도움에 대하여/강성민 글항아리 대표

[문화마당] 도움에 대하여/강성민 글항아리 대표

입력 2014-06-05 00:00
수정 2014-06-0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강성민 글항아리 대표
강성민 글항아리 대표
아침에 일어나니 이틀 동안 내리던 비가 그치고 미야자키 하야오의 만화영화에 나오는 하늘처럼 푸른 하늘이 통유리창으로 쏟아져 들어왔다. 창을 열고 잠들었었는데 아침 내내 집 앞 비닐하우스에서 농부들이 틀어 놓은 음악소리가 바람과 함께 실려와 방안에 가득 차 있다. 텃밭에 내려가 확인해 보니 호박이 밤새 한 뼘이나 자라서 높은음자리표 같은 이파리를 속으로 돌돌 말고 있다. 고추는 따 먹어도 될 만큼 크게 달렸고, 토마토도 어린아이 주먹 쥔 것만큼 굵어졌다. 메신저엔 번역자를 구하지 못해 끙끙 앓던 책의 번역자가 구해졌다는 메시지가 도착해 있다. 그냥 지나가는 말로 알고 지내는 선생한테 잠깐 사정을 얘기했을 뿐인데, 두 발 벗고 뛰어다니며 도와주신 그 선생에 대한 고마움이 마음 가득히 번져온다.

어제는 투표하는 날이었다. 어찌 보면 가장 정치적인 날인데, 그 덕분에 휴일의 기분을 만끽하게 된 나는 오전 내내 ‘도움을 주고받으며 사는 삶’에 대해 생각해보게 됐다.

고등학교 시절 울진, 죽변 등에서 유학을 와 하숙하던 친구들이 있었다. 이 가운데 유독 나와 친했던 친구는 아주 가난했다. 종종 이 친구와 내 용돈을 나눠서 쓰곤 했다. 주말에 여자 친구를 만나러 시내에 나갈 때 거금 1만원을 꿔주는 식이었다. 친구는 이를 두고두고 고마워했다. 군대에서도 돈 없이 외박을 나가게 된 후배에게 5만원을 꿔 준 적이 있다. 이 후배는 사회에 나와서까지 그 이야기를 해서 사람을 바늘방석에 앉힌다.

나는 부끄러우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돕는 일의 기분 좋음’을 알게 됐다. 누군가를 도와주려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다. 이 본성은 사회를 지탱하는 힘이 되기도 한다. 도움을 주고 도움을 받는 것. 그 네트워크가 금전적인 네트워크보다 더 촘촘하다는 생각을 부쩍 하게 된다.

출판사를 운영하다 보면 여러 사람의 도움을 종종 받는다. 하나를 바라고 도움을 요청했는데 열을 도와주는 분들도 많다. 너무나 열성적인 도움 앞에서 즐거운 부채의식이 쌓여간다. 이 부채의식이 가려워 덜어내고 싶어지면 나도 누군가를 돕고 있는 걸 발견하게 된다. 한때는 누군가를 도와주고 뿌듯해했고 이것도 결국 ‘이기적 유전자’가 시키는 짓 아니겠는가 싶기도 했다.

하지만 요즘 인간은 누구나 도움을 주는 만큼 받기 때문에 그 둘을 함께 봐야지, 어느 하나만 놓고 생각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본다. 독립성을 훼손할 정도가 아니라면 인간은 누군가에게 의지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게 지론처럼 뇌리에 자리 잡기도 했다. 후배들에게도 적극적으로 도움을 받으라고 권하기도 한다. ‘도움의 정치’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인간은 정치적인 동물이며 정치적인 사유를 할 수밖에 없으며 도움을 매개로 정치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너무 지나치지만 않는다면 말이다.

그러나 최근 지방선거 유세 열전 속에서 등장한 무수히 ‘도와달라는 읍소’를 보면서 드는 생각은 사람을 가려가면서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왠지 ‘도’둑의 마음만 ‘움’트고 있는 것 같아서 나의 인정(人情)이 인격모독을 당한다는 기분까지 든 것이다. 점심나절이 지나 마음을 다져 먹었다. 줄도 어느 정도 줄어들었을 테니 도움을 줄 수 있는 마음을 가진 사람을 도와야 한다는 마음으로 투표장으로 향했다. ‘도움의 사기(詐欺)’가 아닌 ‘도움의 정치’를 위하여.
2014-06-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