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동구 논설위원
영화 아바타의 주인공처럼 요즘 우리 주변에도 현실과 가상의 세계를 오가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개중에는 가상의 세계와 현실을 혼돈하며 돌출행동을 보이는 이들도 많다. 문제는 이들의 돌출행동들이 사회 공동체의 질서를 흐트릴 만큼 흉포화되고 있는 데 있다. 최근 우리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몇몇 살인 사건들에서도 이 같은 문제점이 잘 드러났다. 지난 17일 부산에서는 인터넷상에서 정치, 사회문제 등에 대해 논쟁을 벌이다 상대방 여성을 무참히 살해한 30대 남성이 검거됐다. 범인은 인터넷상에서 자신의 의견과 다른 여성의 집앞에서 며칠을 기다려 흉기를 휘둘렀다. 범행 후에는 살해했다는 것을 암시하는 패러디물을 인터넷 사이트에 올리기도 했다. 경찰 관계자들은 “그는 일반적인 범죄자와 달리 죄의식도 거의 느끼지 않는 듯 당당하게 범행과정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평소 인터넷상에서 토론을 즐기던 아바타가 현실의 ‘나’로 혼돈되면서 잔인한 돌출행동을 한 경우라 할 수 있다.
훨씬 더 심각한 사례도 있다. 지난 8일 경기 용인시에서는 평범한 19세 청년이 엽기적인 살인행각을 벌여 충격을 줬다. 술이나 약물에 취한 것도 아닌 맨정신으로 도저히 입에 담기조차 힘든 엽기적인 살인행각을 벌였다. 상당수 언론들은 사건 자체가 너무나 잔혹해 여느 때와 달리 기사 취급을 주저할 정도였다. 그는 범행 과정을 휴대전화로 찍어 친구에게 전송까지 했다. 그의 친구는 인터넷에서 떠도는 엽기적인 영상쯤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사람을 죽이는 것쯤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섬뜩한 글도 남겼다고 한다. 범인은 경찰조사에서 인터넷을 통해 시신훼손방법을 알았다고 털어놨다. 평소 탐닉하던 가상세계와 현실에서의 자기를 혼돈한 범죄였던 것으로 보인다. 현실에서의 나는 결코 그런 엄청난 일을 저지를 수 없는 사람인데, 인터넷 공간에서는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 게임이든, 도박이든, 모든 일을 처리하는 슈퍼맨이 될 수도 있다. 이런 착각이 반복되고 판단이 흐려지면 현실의 ‘나’가 ‘아바타’와 동일시되면서 잔인한 행동도 서슴지 않게 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우리 청소년들의 게임 및 인터넷 중독률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통계를 찾지 않아도 길거리, 전철 안, 공원에서도 쉽게 만날 수 있다. 물론 모두가 위험한 아바타가 되진 않을 것이다. 그런데도 왠지 게임이나 인터넷에 열중하는 이들을 보면 자꾸만 무서워진다.
yidonggu@seoul.co.kr
2013-07-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