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위인의 두 얼굴/함혜리 논설위원

[씨줄날줄] 위인의 두 얼굴/함혜리 논설위원

입력 2013-04-03 00:00
수정 2013-04-0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류사에 길이 남는 위인들의 삶은 자세히 관찰해 보면 사악한 이중성을 지닌 경우가 많다. 귀감으로 삼아야 할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지 헷갈릴 정도다. ‘사회계약론’ ‘에밀’ 등을 쓴 계몽주의 철학자 장 자크 루소는 프랑스 혁명과 이에 따른 유럽의 구체제 붕괴를 초래한 인물로 여겨진다. 로베스피에르는 그를 “고상한 영혼과 숭고한 품성을 통해 인류의 스승 역할을 맡을 만한 위대한 인물”이라고 칭송했다. 루소는 특히 아이들의 양육에 관한 이론으로 명성을 얻었지만 실제 삶은 정반대였다. 그는 파리에서 세탁부 출신의 테레즈 라바쇠르를 만나 오랫동안 관계를 맺었는데, 그녀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이 다섯을 모두 낳자마자 고아원에 갖다 버리라고 했다. 이 사실은 볼테르가 익명으로 쓴 ‘시민의 감정’이라는 책을 통해 공개적으로 고발함으로써 세상에 드러났다.

칼 마르크스도 그런 범주에 속한다. 보기 드물게 탁월한 지성과 개성을 지녔지만 독재적이고 이기적인 습관으로 주위를 불편하게 했던 마르크스는 가사를 돌보는 렌첸이라는 무임금 노동자를 정부로 삼아 아이를 낳았지만 책임지기를 거부했다. 프레디라는 이름의 이 아이는 노동계급 집안에 맡겨졌다가 엥겔스의 양자로 입적되지만 마르크스는 끝내 마주하지 않았다. 여성운동의 진정한 출발점이 된 ‘인형의 집’을 쓴 헨리크 입센은 지독하게 보수적이고 허영심이 많은 인물이었다. 이론적으로는 여성들의 편이었지만 사회활동에 나서는 여성들을 못 견뎠으며 여성편력 또한 대단했다. 특히 나이 어린 여자를 좋아했는데 첫 연애 상대 헨리케 홀스트는 15살이었고 여관 주인의 열살 난 손녀를 좋아했는가 하면 43살 때에는 18세의 오스트리아 아가씨 에밀리 바르다크와 교제했다.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를 쓴 러시아 문호 레프 톨스토이는 현명한 도덕군자라는 평판을 얻었지만 실제로는 복잡하고 모순적인 성격의 소유자였다. 그는 시골 소유지의 농노 여성들을 상대로 즐기다가 사생아를 낳았지만 친아들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노벨상 수상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노인과 바다’ ‘무기여 잘 있거라’ 등 소설 속에서는 진실의 중요함을 강조하면서도 현실에서는 거짓말을 습관처럼 해댔다. 그는 과대망상증과 우울증을 앓다 35구경 엽총으로 스스로 삶을 마감했다.

영국의 대문호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곡물 투기와 고리대금업으로 이득을 취하는 냉혹한 모습을 보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위인들도 결국은 일반 사람과 마찬가지로 불합리하고 비논리적이며 어리석을 수 있다고 넘어가기엔 좀 찜찜하다.

함혜리 논설위원 lotus@seoul.co.kr

2013-04-0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