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집중투표 이사 선임 불가…MBK·영풍 승기 잡았다

고려아연 집중투표 이사 선임 불가…MBK·영풍 승기 잡았다

손지연 기자
손지연 기자
입력 2025-01-21 18:12
수정 2025-01-21 20: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法, 영풍 측 가처분 인용
MBK 연합, 오는 23일 이사회 과반 확보 유력
고려아연 “소액주주 보호 위해 집중투표제 추진”
MBK 연합, “고려아연 거버넌스 개혁 신호탄”

이미지 확대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이 지난해 10월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MBK파트너스 고려아연 공개매수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공개매수에 나서게 된 배경 등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이 지난해 10월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MBK파트너스 고려아연 공개매수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공개매수에 나서게 된 배경 등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는 23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집중투표 방식으로 이사를 선임하려던 고려아연의 시도에 법원이 제동을 걸었다. 이에 지난해 9월 시작된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과 MBK파트너스·영풍 연합 간 경영권 분쟁은 약 4개월 만에 MBK 연합의 승리로 끝날 가능성이 커졌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 50부(수석부장 김성훈)는 21일 영풍이 고려아연을 상대로 낸 임시 주총 의안상정금지 가처분을 인용했다. 이번 가처분은 최 회장의 가족회사인 유미개발이 청구한 집중투표 방식의 이사 선임 의안을 23일 고려아연 임시 주총 안건으로 상정하는 걸 막아 달라는 내용이다. 재판부는 “집중투표 청구 당시 고려아연의 정관은 집중투표제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규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최 회장 측이 이사회 과반을 지키는 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현재 MBK 연합의 의결권 지분은 46.7%로 최 회장은 특정 이사 후보에게 의결권을 몰아주는 집중투표제를 도입해야만 반전의 기회를 잡을 수 있었다. MBK 연합은 이번 임시 주총에 14명의 이사 후보를 냈는데 전원이 이사회에 진출하면 영풍 측 고려아연 이사회 이사는 기존 1명을 포함해 15명으로 늘어난다.

고려아연은 이사 수 상한을 두는 정관 변경도 임시 주총 안건으로 상정했지만 이는 주총 특별 결의사항이라 출석 주주의 3분의2 이상 동의가 필요하다. MBK 연합(46.7%)의 반대만으로도 해당 안건은 부결된다. MBK 연합은 “고려아연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에 신호탄이 쏘아졌다”고 밝혔다. 고려아연은 “법원 결정이 집중투표제 도입 자체와는 무관한 만큼 소액주주 보호라는 취지에 따라 집중투표제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날 고려아연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8.55% 급락한 75만 9000원에 마감했다. 영풍은 9.57% 오른 41만 8000원에 장을 마쳤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