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공기업의 최근 3년간 임금 인상률이 9.68%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공기업의 인상률 5.52%와 비교했을 때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금융 공기업들이 임금 격차를 다시 벌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2013~2014년 공기업 정상화 방안 이후 정부 견제가 소홀해진 틈을 타 금융 공기업들이 다시 방만 경영에 빠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8일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7개 공공기관의 지난해 정규직 직원 1인당 평균 연봉은 9309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시기 전체 361개 공공기관 직원의 평균 보수(6706만원)보다 38.8%가량 많은 수준이다.
특히 정부의 견제로 줄어들었던 금융공기업과 일반공기업의 임금 격차가 2014년 이후 다시 벌어지고 있다. 2014년 8486만원이던 금융공기업의 평균 보수는 3년 사이 823만원(9.68%) 오른 데 반해 일반공기업은 6355만원에서 352만원(5.52%) 상승하는 데 그쳤다. 2014년에는 전년보다 금융공기업이 연봉을 21만원 줄이고, 일반공기업이 510만원 올려 격차가 25% 수준이었다.
기관별로 보면 KDB산업은행의 지난해 직원 1명당 평균 보수가 1억 178만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억원을 돌파했다. 2017년 급여 인상률이 6.1%으로 7개 금융공기업 중 가장 컸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C등급을 받다 지난해 B등급을 받은 것이 연봉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이 밖에 한국예탁결제원은 평균 임금이 1억 961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은행도 지난해 5% 올라 1억원(988만원)에 근접했다.
한편 금융공기업 내 남성 직원과 여성 직원의 연봉 격차도 컸다. 2016년 신설된 서민금융진흥원까지 포함해 금융위 산하 8개 공기업의 지난해 남성 1인당 연봉은 9804만원으로, 여성 6782만원보다 3000만원 이상 많았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8-05-2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