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은 인사를 통해 1970년대생 여성 임원 및 본부장 5명을 배치하고 협업 시너지 확대를 위한 조직개편을 했다고 27일 밝혔다.
하나은행은 그룹 내 여성 리더 육성 프로그램인 ‘하나 웨이브스(Hana Waves)’ 1기 수료자 중 박영미 손님행복본부장과 고금란 영업지원본부장 등 2명을 여성 본부장으로 선임했다. 김소정 디지털경험본부 부행장, 이인영 소비자보호그룹 상무, 김미숙 연금사업본부장까지 포함해 여성 임원 및 본부장은 총 5명이다.
하나은행은 조직 효율성 높이기에도 나섰다. 기존 16그룹, 21본부·단, 60섹션으로 구성된 조직은 13그룹, 26본부·단, 55섹션으로 재편했다. 영업조직의 의사결정 단계도 줄였다. 기존 ‘영업본부-지역영업그룹’ 조직체계는 ‘영업그룹’으로 단순화된다.
디지털과 자산관리 부문엔 더 힘을 줬다. 자산관리그룹은 WM(자산관리)본부, 연금사업본부, 신탁사업본부, 투자상품본부 등 4개로 확대했다. 디지털리테일그룹 산하에는 ‘디지털전환(DT·Digital Transformation) 혁신본부’를 새로 만들었다. 또 수평적 조직 및 일하는 방식 혁신을 위해 플랫폼 조직을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박병준 본부장은 부행장인 경영지원그룹장 겸 청라HQ추진단장으로 승진했고, 성영수 외환사업단장(본부장)은 CIB그룹 부행장으로 승진했다. 안선종 본부장은 Biz.혁신그룹 부행장으로, 전우홍 서남영업본부장은 여신그룹 부행장으로 각각 승진했다. 김주성 하나카드 리스크관리본부장은 은행 리스크관리그룹 부행장으로 승진 위촉됐다. 영업 현장에서 성과가 우수한 지점장 등 17명은 본부장으로 승진을 했다.
하나은행은 “일하는 방식을 혁신해 금융과 비금융을 넘나드는 장기적인 질적 성장의 기반을 만들고 ‘손님 중심 은행’이라는 지향점을 재구축했다”고 밝혔다.
황인주 기자 inkpad@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