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향서 접수 오늘 마감
지분 규모 4% 3000억 수준7~10곳 인수후보자 나설 듯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한 투자의향서(LOI) 접수가 23일 마감된다. 2010년 이후 4번의 실패를 거듭했던 과거와는 달리 한화생명과 한국투자금융지주, 국내외 사모투자펀드(PEF) 등 7~10곳의 인수후보자가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정부나 당사자인 우리은행은 이번에는 흥행에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성공하면 4전 5기가 된다.
한화생명은 마감 하루 전인 22일 이사회를 열고 우리은행 과점주주 지분매각 LOI를 접수하기로 의결했다. 한화생명 측은 “자산운용수익률을 높이고 안정적인 배당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해 인수전 참여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분 매입 규모는 4%가량이 유력하다. 금액으로는 약 3000억원 수준이다.
이미 한국투자금융지주는 지난 13일 우리은행 지분 인수를 검토 중이라고 공시했다. 은행법 개정에 따라 카카오뱅크 보유 지분 54%를 카카오에 매각하고 대금을 돌려받으면 자금 여력도 충분하다는 것이 시장의 판단이다.
MBK파트너스와 한앤컴퍼니, H&Q아시아퍼시픽파트너스, IMM PE, 보고펀드 등 국내 PEF와 베어링PEA, 칼라일,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 CVC캐피털파트너스 등 해외 PEF들도 참여를 검토 중이다.
하지만 주요 인수 후보군 중 하나로 거론됐던 교보생명은 LOI를 제출하지 않기로 했다. 교보생명 측은 “새 국제회계기준(IFRS4 2단계) 등을 앞둔 상황에서 단일 종목에 대한 과도한 투자는 자산 포트폴리오와 리스크 관리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어 (우리은행 지분 인수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포스코와 KT도 인수전에 참가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지난 21일 “지분 8% 인수 의사를 가진 복수의 희망자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매각 대상 지분은 예보 보유 우리은행 지분 51% 중 30%다. 올해 안에 이를 4~8%씩 쪼개 판다는 게 정부 방침이다. 낙찰자 결정 기준은 원칙적으로 입찰가격 순이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6-09-2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