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앤락, 한부모 가족 600여 가구에 ‘용기 세트’ 후원

락앤락, 한부모 가족 600여 가구에 ‘용기 세트’ 후원

김태곤 기자
입력 2023-08-04 11:19
수정 2023-08-04 11: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기부 전달식에 참여한 김주리(왼쪽부터) 락앤락 커뮤니케이션팀 사원, 김한나 서울시한부모가족복지시설협회 회장, 최보경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사회공헌실장. 락앤락 제공
기부 전달식에 참여한 김주리(왼쪽부터) 락앤락 커뮤니케이션팀 사원, 김한나 서울시한부모가족복지시설협회 회장, 최보경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사회공헌실장. 락앤락 제공
락앤락이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와 공동으로 한부모 가족 대상 ‘락앤락과 함께 하는 용기’ 사업을 전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을 통해 락앤락은 홀로 자녀를 키우는 한부모 가족에게 따뜻한 용기를 전할 수 있도록 ‘오븐 글라스 유로’, ‘이지 프라이팬’, ‘바로한끼’ 이유식 용기, ‘밀키 텀블러’ 등 인기 제품으로 구성된 ‘용기 세트’를 후원했다.

후원 물품은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소속 생활시설 총 19곳에 전달돼 한부모 가족 600여 가구에 전해졌다.

이미지 확대
영락모자원에 전달된 락앤락 후원 물품. 락앤락 제공
영락모자원에 전달된 락앤락 후원 물품. 락앤락 제공
김현훈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회장은 “어려운 시기임에도 취약계층을 위한 나눔 실천에 앞장서 준 락앤락에 감사드린다”며 “이번 후원으로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우리 주변 이웃들이 더욱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천해우 락앤락 대표이사는 “이번 후원을 통해 전달한 락앤락 제품이 한부모 가족의 생활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길 바란다”면서 “뜻깊은 사업에 동참해 준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에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사회 각 계층에 따뜻한 용기를 전할 수 있는 사회 공헌 활동을 적극 진행하며 소비자들에게 받은 사랑을 되돌려 드리겠다”고 전했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학생·지역주민 교통복지 개선 위한 마을버스 확충 매우 시급”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은 지난 14일 효문고등학교에서 마을버스 운행과 관련한 학부모 간담회를 주선해 지역 교통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효문고 교장, 효문중 교장, 교감, 도봉구청 관계자, 지역운수업체 및 효문고, 효문중, 쌍문초 학부모 등 약 20명이 참석해 학생들의 수요가 많은 마을버스의 증차, 노선변경 및 신설 등에 대해 건의했다. 학부모들은 “인근지역 주택공급 및 개발로 효문고, 효문중, 쌍문초는 물론 덕성여대까지 교통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마을버스 배차간격이 길고, 무엇보다 쌍문역 같은 지역수요가 많은 교통요지와의 접근성에 문제가 많다”라며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게도 숙원사업”이라고 적극 건의했다. 학교 측에서도 “학교 위치가 너무 외져서 기간제교사를 채용할 시 지원율이 상당히 낮고, 특히 초임교사들에게도 교통상의 문제로 출퇴근에 어려움이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홍 의원은 “학생복지뿐만 아니라 교통복지 차원에서 학교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며 “교육환경 개선은 단순히 시설 확충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학할 수 있는 교통 인프라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학생·지역주민 교통복지 개선 위한 마을버스 확충 매우 시급”

락앤락은 락앤락과 함께 하는 용기 사업을 전개하며 한부모 가족을 비롯한 소외계층 대상 나눔 활동을 이어가는 한편, 오래된 플라스틱 밀폐용기를 수거해 생활용품, 공공시설물 등으로 재탄생시키는 ‘러브 포 플래닛’(Love for Planet) 캠페인, 친환경 문화를 전파하는 대학생 서포터즈 ‘그린메이트’ 등을 운영하며 자원순환 문화 확산에도 앞장서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