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방송’ 콘텐츠 암호화 요구… 제조사들 “TV값 비싸져 반대”
지상파 초고화질(UHD) 방송의 표준을 둘러싼 관련업계 간 갈등으로 당초 계획대로 내년 2월 수도권부터 방송을 개시하는 것이 불투명해졌다.19일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 산업계 등에 따르면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사 진영과 삼성전자, LG전자 등 제조업체 진영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현재 양측 진영이 치열하게 맞붙은 쟁점은 ‘콘텐츠 암호화’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양질의 UHD 콘텐츠를 무단 복제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TV 프로그램에 대한 암호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상파 UHD 콘텐츠에 ‘수신제한시스템’(CAS)을 적용해 암호화 송출을 하면 TV나 셋톱박스에 암호화 해제 장치를 탑재해야 한다. 그러나 삼성전자, LG전자 등 제조업체들은 TV 가격 상승 등을 들어 이를 반대하고 있다. UHD TV에 안테나를 내장할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19일 열린 지상파 UHD 방송추진위원회 첫 회의에서 “지상파 방송사들이 요구하는 콘텐츠 암호화, 내장 안테나 탑재 UHD TV를 내년 2월까지 출시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며 방송사들이 기존 요구를 철회할 것을 재차 요구했다. 한 제조업체 관계자는 “미국 표준에는 암호화 기술이 포함돼 있지 않고 전 세계 어느 나라도 안테나가 내장된 TV를 팔라는 규정이 없는데 우리나라에서는 UHD TV를 만들 때 해외용과 국내용을 따로 만들라는 얘기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방통위 관계자도 이에 대해 “양측의 입장 차이가 너무도 확연하다 보니 내년 2월 방송 개시가 가능할지 우려가 나오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미래부 등은 이번 주 ‘미국식 표준’으로 국내 UHD 방송 표준방식을 행정예고할 계획이다. 최신 기술인 미국식 표준은 기존 유럽식 표준과 달리 인터넷 기능이 있어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국내 UHD 방송 표준이 미국식으로 정해지면서 기존에 UHD TV를 구입한 소비자들의 피해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겨 논란이 예상된다. 그동안 출시된 삼성전자, LG전자의 UHD TV는 유럽식 표준에 따라 만들어졌다. 기존 UHD TV는 별도의 변환 장치가 있어야만 지상파 UHD 방송 시청이 가능하다.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기존에 UHD TV를 구매한 소비자들은 당장 별도의 컨버터 등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없다”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용어 클릭]
■지상파 초고화질(UHD) 방송 기존 고화질(HD) 방송보다 4배 더 선명한 화면과 입체적 음향 등을 제공하는 방송을 말한다. 내년 2월 1단계로 수도권에, 12월 2단계로 부산·대구 등 광역시와 함께 평창올림픽 개최지인 강원권에, 3단계로 2021년까지 전국에 도입된다.
2016-07-2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