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공항 거점 LCC 과잉 논란
지방 공항을 거점으로 한 저비용항공사(LCC) 설립이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선택이 다양해지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자칫 과열경쟁으로 인해 산업 자체가 흔들리면 소비자들에게 피해가 돌아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1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강원 양양을 거점으로 한 LCC 플라이양양의 신규 운송사업 면허가 이달 중 결론 날 예정이다. 지난해 4월 출범한 플라이양양은 올해 B737-800 항공기 3대를 가지고 8월부터 단거리 국제선 취항에 나설 계획이다. 주요 취항지는 중국과 일본, 동남아 등 17개 노선이 될 전망이다.
●“다양한 선택” vs “더 싸지기 힘들어”
플라이양양 외에도 충북 청주를 기반으로 세워진 K에어항공를 비롯해 에어대구, 남부에어(경남), 포항에어 등 4개 업체가 출범을 준비하고 있다.
지방공항을 거점으로 한 LCC들의 증가는 지자체들의 지역경제 활성화 계획과 연결돼 있다. 업계 관계자는 “다른 산업군에서 활로를 찾지 못하는 지자체들이 LCC를 통한 관광객 유치로 지역경제의 활기를 만들고 싶어 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실제 남부에어는 경남도가 영남권 5개 시·도 상공회의소 회원 기업을 중심으로 자본금을 출자해 설립할 계획이다.
신규 LCC의 출범은 취항지를 다각화하고, 경쟁을 통해 가격을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신규 출범을 준비하고 있는 LCC의 대부분은 기존 LCC들이 취항하고 있는 중국·일본 노선과 상당수 중복되는 선에서 취항 계획을 짜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항공기가 20대는 돼야 비용면에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다”면서 “항공권 가격에서도 기존 LCC들보다 낮게 운영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항공기 20대는 돼야 비용 절감 가능”
업계에서는 후발 LCC들이 경영난으로 부실화하면 산업 전체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업계 관계자는 “2005년 출범한 1세대 LCC인 한성항공이 부도를 맞을 당시 예약한 항공권을 환불해주지 못해 소비자들의 피해가 컸고, LCC 전체 이미지도 나빠졌다”면서 “지역의 이해관계도 중요하지만 산업 전체를 보는 거시적인 항공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7-02-1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