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음이란 일관된 메시지를 브랜드 이미지로 전달해 온 ‘카스’가 지난해 7월 선보인 프리미엄급 신개념 맥주 ‘카스 비츠’로 인기몰이 중이다.
이미지 확대
흔한 갈색병 대신 코발트블루 색상의 병을 채택한 ‘카스 비츠’. 오비맥주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흔한 갈색병 대신 코발트블루 색상의 병을 채택한 ‘카스 비츠’. 오비맥주 제공
갈색병 대신 코발트블루 색상으로, 좌우 비대칭의 굴곡진 곡선형 라인의 병이 눈길을 끄는 제품이다.
젊은층이 열광하는 EDM 등 비트 중심 음악의 역동성을 형상화한 병 모양에 손으로 돌려 따는 ‘트위스트 캡’을 장착했고, 손에 쥐었을 때 착 달라붙는 ‘그립감’을 키워 실용성을 높였다. 알코올 도수 5.8로 평균 5도 미만의 일반 맥주들보다 센 편이지만, 특수공법으로 칼로리를 낮추고 상쾌하면서 깨끗한 뒷맛을 구현해 냈다. 제품 출시 전 평가에서 소비자들은 깔끔한 뒷맛, 부드러운 목 넘김, 상쾌하고 시원한 맛을 신제품의 강점으로 꼽았다.
1994년 출시된 뒤 카스는 맛, 패키지, 이미지 등에서 쇄신을 거듭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서브 브랜드를 출시해 브랜드 선호도와 점유율에서 1위를 차지했다.
‘카스 후레쉬’로 전통적인 맥주 맛을 유지하면서 칼로리를 낮춘 ‘카스 라이트’, 진한 맛을 낸 고알코올 맥주 ‘카스 레드’, 천연 레몬즙을 함유시킨 ‘카스 레몬’ 등이 대표 브랜드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6-03-1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