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우리나라 國富 1경 1천39조…5년 새 36% 급증

2013년 우리나라 國富 1경 1천39조…5년 새 36% 급증

입력 2015-12-29 14:05
수정 2015-12-29 14: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계에서 부동산 자산 비중 줄고 금융자산 비중은 커져 민간부문 순자산 7천945조9천억…전체 국부의 72.0% 차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5년 동안 우리나라의 순자산(전체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이 40% 가깝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계에서 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는 추세로 분석됐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은 29일 유엔 등 국제기구가 공동으로 마련한 국민계정통계 편제기준(2008 SNA)에 따른 국민대차대조표(시계열)를 2011년 말에서 2008년 말로 소급해 적용한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대차대조표는 일정 시점에서 국민경제의 실물자산과 금융자산, 부채의 규모 및 증감을 기록한 통계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국민 순자산은 2008년 말 8천118조5천억원에서 2013년 말 1경 1천39조 2천억원으로 5년 동안 36.0%(2천920조7천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민순자산 배율은 2008년 말 7.4배에서 2013년 말 7.7배로 상승했다.

영역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이 4천621조6천억원에서 6천365조9천억원으로 5년 동안 37.7% 늘었다.

일반정부는 2천209조2천억원에서 3천93조3천억원으로 40.0% 증가했다.

조태형 한은 국민B/S팀장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경제사정이 나빠지면서 정부가 사회간접자본 등에 투자를 많이 했다”며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토지를 많이 소유하고, 글로벌 위기 때 주식 가격이 내려갔던 게 자산 변화에 영향을 준 것 같다”고 말했다.

비금융법인기업(1천55조7천억원→1천335조원)과 금융법인기업(232조원→245조원)의 순자산 증가폭은 각각 26.5%와 5.6%로 상대적으로 작았다.

2013년 말 현재 민간 부문의 순자산은 7천945조9천억원으로 우리나라 국부의 72.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가계 순자산에서 토지, 건물 등 비금융자산 비중은 2008년 말 81.8%에서 2013년 말 77.2%로 5년 사이 4.6% 포인트 떨어졌다.

반면에 순금융자산(금융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 비중은 같은 기간 18.2%에서 22.8%로 올라갔다.

그동안 우리나라 가계에서 순금융자산 비중은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이 60∼70%인 것과 비교해 너무 낮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또 전체 금융자산에서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비중은 2008년 말 20.9%에서 2013년 말 23.0%로 2.1% 포인트 올라갔지만 비금융자산에서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비중은 46.1%에서 44.3%로 1.7% 포인트 하락했다.

이에 대해 조 팀장은 “전체 고용이나 생산활동에서 자영업자 비중이 점점 줄어든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예컨대 대형할인점의 등장으로 동네의 소규모 슈퍼마켓이 줄면서 가계의 비금융자산이 감소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자산 유형을 보면 생산과정을 거친 생산자산이 2008년 말 3천856조8천억원에서 2013년 말 5천185조원으로 34.4% 늘었다.

이 가운데 건설자산, 설비자산, 지식생산물 자산 등 고정자산이 3천616조2천억원에서 4천863조4천억원으로 34.5% 증가했다.

재고재산은 240조6천억원에서 321조6천억원으로 33.7% 늘었다.

한은과 통계청은 이번에 국민대차대조표에서 재고자산을 새로 작성했다.

재고재산의 GDP 대비 비율은 1970년 32.1%에서 1980년 41.2%로 높아졌다가 2002년 17.3%까지 하락했다. 2013년에는 22.5%를 기록했다.

경제활동별로는 농림어업 재고의 비중이 1970년 42.8%에서 2013년 6.0%로 급격히 축소됐고 광업 및 제조업 재고는 같은 기간 29.6%에서 57.8%로 확대됐다.

또 건설업 및 부동산 입대업 재고의 비중은 2000년 8.3%에서 2013년 5.9%로 줄었다.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비생산자산의 경우 2008년 말 4천348조9천억원에서 2013년 말 5천893조5천억원으로 35.5% 늘었다.

토지자산이 4천316조6천억원에서 5천848조원으로 35.5% 증가했다.

지하자원은 20조2천억원에서 23조3천억원으로 14.9%, 입목자산(임야의 나무)은 12조1천억원에서 22조천억원으로 84.2% 늘었다.

한편 한은과 통계청은 2014년 국민대차대조표의 잠정 결과와 2015년 잠정추계치를 내년에 함께 발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