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은 기온변화가 크고 습도가 낮아 호흡기가 예민해진다. 체온이 고르지 않아 코막힘, 기침, 오한 등 감기몸살에 걸리기 쉬운 날씨란 얘기다. 올 겨울은 한파와 포근한 날이 번갈아 나타나며 기온 변화가 매우 심할 것으로 보인다. 감기는 바이러스성 질환이기 때문에 치료약이 없다. 예방이 최선책, 감기약이 차선책이다. 증상이 가볍다고 소홀하면 폐렴이나 기관지염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초반에 빠르게 치료하는 게 가장 좋다. 제약 시장 조사 기관 IMS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감기약 시장은 997억원에 달한다. 2013년 대비 9.7% 성장했다. 작은 시장이지만 400여개 제품이 경쟁할 정도로 치열하다. 동아제약의 ‘판피린 큐’와 동화약품 ‘판콜에스’가 각각 220억원, 140억원으로 양강 구도를 이루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감기약들이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차처럼 타 마시는 종근당의 ‘모드콜플루’, 복용 시간을 낮과 밤으로 구분한 한미약품의 종합감기약 ‘써스펜’, 증상별로 액상 감기약을 분류한 광동제약의 ‘굿엔 시리즈’ 등이 눈에 띄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아이들을 배려한 녹십자의 아이 맞춤형 감기약 ‘그린시럽 시리즈’도 눈여겨볼 만하다. 겨울철 국내 대표적인 감기약들을 소개한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12-2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