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전 세계 올 성장률 하락 속 美는 상승”
미국이 ‘제로금리’ 시대를 끝내고 나 홀로 긴축에 나서면서 세계 경제의 변화도 불가피해졌다. 미국의 긴축으로 신흥국발(發) 경제 위기가 재현될 것이라는 우려가 많지만, 글로벌 경제의 심장인 미국의 경기 회복과 함께 ‘팍스 아메리카나’가 재현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11년 1.6%에 그쳤던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올해 2.6%, 내년에는 2.8%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반면 지난해 3.4%였던 세계 경제성장률은 올해 3.1%로 나빠질 것으로 보고 있다. 유럽의 경기 회복세가 한풀 꺾이고 중국의 성장이 둔화된 상황에서 미국의 부활이 글로벌 저성장 탈출을 주도할 가능성이 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18일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미국이 침체됐을 때 중국이 성장을 이어가며 격차를 좁혔지만 지금은 거꾸로 됐다”며 “미국이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면 팍스 아메리카나 같은 영향력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신흥국이 직면할 자본 유출은 세계 경제에 ‘퍼펙트 스톰’으로 작동할 수 있다. 신흥국 통화가치의 급락 조짐도 곳곳에서 나타난다. 자본 유출을 막으려면 신흥국도 기준금리를 끌어올려야 하지만 기초체력이 취약한 일부 신흥국의 경우 국가 부도를 걱정해야 한다. 1990년대 후반 아시아 금융위기도 미국의 금리 인상에서 비롯됐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최근 전문가 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8%가 ‘5년 내 다시 제로금리로 돌아갈 것’이라고 전망한 것도 이 때문이다.
오태동 NH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미 연준은 원래 자국 사정을 고려해 통화정책을 쓰는데 지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는 신흥국 부진을 언급하며 금리 인상을 연기했었다”며 “신흥국 위기가 발생하면 금리 인상을 이어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달러 강세가 지속되면 미국의 수출이 어려워지는 것도 향후 금리 인상을 제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5-12-19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