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 임금격차·유리천장 지수 OECD 꼴찌
“정규직이든 비정규직이든 들어갈 곳이 적고, 운 좋게 들어갔더라도 많이 일하고 덜 받는다.”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여성의 근로조건이 ‘최악’으로 꼽힌다. ‘유리천장지수’도 OECD 회원국 가운데 3년 연속 꼴찌다. 유리천장지수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도와 남녀 임금 격차 등 9개 항목을 평가해 산출한 지표다. 수치가 낮을수록 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이 크다는 의미다.
7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평균 근로시간은 월 165.5시간이다. OECD 국가 중 멕시코를 빼고 일하는 시간이 가장 많다. 남성이 한 달에 171시간, 여성이 157.1시간 일한다. 남성 근로자가 여성보다 14시간(8.8%)가량 더 근무하는 셈이다. 하지만 남녀 임금 격차는 이 차이를 크게 웃돈다. 남성 근로자의 임금을 100으로 놓고 볼 때 여성 근로자의 임금은 남성의 63.1% 수준이다. 남성보다 월 14시간 덜 일하고, 임금은 37% 가까이 덜 받고 있다는 얘기다. 심지어 여성 정규직 임금(월 219만원)은 남성 비정규직 임금(225만원)보다도 적다. 최저임금인 월 116만원도 못 받고 일하는 근로자 가운데 절반이 기혼 여성이다. 이렇다 보니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가 OECD 국가 중 꼴찌다. OECD 회원국의 평균 격차는 15% 수준이다. 덴마크가 8%, 프랑스 14%, 미국 19%다. 우리나라와 비슷한 근무 환경인 일본도 27% 안팎이다.
남녀 임금 격차가 큰 까닭은 출산·육아에 따른 여성의 경력 단절과 이로 인해 지위가 낮고 비정규직에 여성의 재취업이 집중되는 탓으로 분석된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남성 정규직이 100원 벌 때 여성 비정규직은 36원 버는 것이 현실”이라면서 “정책 의도와 달리 여성 시간제 일자리의 질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5-06-08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