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 해 삼성전자 등 한국 대표 기업들의 가치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아베노믹스의 보람도 없이 일본 주요 기업 가치도 뒷걸음질 쳤지만 반대로 미국과 중국 기업은 선방했다.
30일 블룸버그가 집계한 세계 시가총액 500대 기업 가운데 한국 기업 수(28일 기준)는 4개로 지난해 말(5개)보다 1개 줄었다. 그나마 남은 4개 기업의 순위도 뒤로 밀려 한국 기업의 질적인 후퇴가 확연했다.
국내 1위인 삼성전자가 세계 전체에서는 29위로 지난해 24위보다 5계단 떨어졌다. 현대차는 321위를 기록해 지난해 말(205위)보다 116위 내려앉았다.
지난해 416위였던 포스코와 422위였던 현대모비스는 아예 500대 기업에서 빠졌다. 대신 SK하이닉스가 469위에서 377위로 급상승했고 한국전력도 476위에 새로 이름을 올렸다.
올해 국내 기업들은 대체로 실적 부진에 시달린 데다 엔화 약세 등으로 수출에서 고전을 면치 못한 점이 시가총액에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 기업들도 밀렸다. 일본 1위 기업인 도요타가 지난해와 같은 20위로 체면치레를 했을 뿐 나머지 기업들은 대체로 가치가 하락했다. 미쓰비시도쿄파이낸셜그룹(87위→104위), 소프트뱅크(65위→118위), NTT도코모(135위→142위), 재팬 토바코(144위→178위), 혼다(124위→185위) 등은 지난해보다 순위가 떨어졌다. 이런 일본 기업들의 순위 하락에 엔화 약세와 돈을 풀어 경기를 살린다는 아베노믹스의 효과가 떨어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중국은 500위 안에 든 기업 수가 39개로 지난해(22개)보다 17개 늘었다. 특히 세계 10대 기업 안에 중국 기업 2곳이 이름을 올렸다. 페트로차이나가 지난해보다 7계단 오른 7위를 기록했고 올해 상장한 알리바바는 10위에 등극했다.
최근 경기가 좋아지고 있는 미국 기업들의 순위도 눈에 띈다. 애플이 부동의 1위를 지켰고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해 4위에서 2위로 올라섰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30일 블룸버그가 집계한 세계 시가총액 500대 기업 가운데 한국 기업 수(28일 기준)는 4개로 지난해 말(5개)보다 1개 줄었다. 그나마 남은 4개 기업의 순위도 뒤로 밀려 한국 기업의 질적인 후퇴가 확연했다.
국내 1위인 삼성전자가 세계 전체에서는 29위로 지난해 24위보다 5계단 떨어졌다. 현대차는 321위를 기록해 지난해 말(205위)보다 116위 내려앉았다.
지난해 416위였던 포스코와 422위였던 현대모비스는 아예 500대 기업에서 빠졌다. 대신 SK하이닉스가 469위에서 377위로 급상승했고 한국전력도 476위에 새로 이름을 올렸다.
올해 국내 기업들은 대체로 실적 부진에 시달린 데다 엔화 약세 등으로 수출에서 고전을 면치 못한 점이 시가총액에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 기업들도 밀렸다. 일본 1위 기업인 도요타가 지난해와 같은 20위로 체면치레를 했을 뿐 나머지 기업들은 대체로 가치가 하락했다. 미쓰비시도쿄파이낸셜그룹(87위→104위), 소프트뱅크(65위→118위), NTT도코모(135위→142위), 재팬 토바코(144위→178위), 혼다(124위→185위) 등은 지난해보다 순위가 떨어졌다. 이런 일본 기업들의 순위 하락에 엔화 약세와 돈을 풀어 경기를 살린다는 아베노믹스의 효과가 떨어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중국은 500위 안에 든 기업 수가 39개로 지난해(22개)보다 17개 늘었다. 특히 세계 10대 기업 안에 중국 기업 2곳이 이름을 올렸다. 페트로차이나가 지난해보다 7계단 오른 7위를 기록했고 올해 상장한 알리바바는 10위에 등극했다.
최근 경기가 좋아지고 있는 미국 기업들의 순위도 눈에 띈다. 애플이 부동의 1위를 지켰고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해 4위에서 2위로 올라섰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4-12-3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