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가 최근 수출 회복을 통해 경착륙할 것이라는 우려는 덜어냈지만 부동산 침체 등으로 성장률이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7일 발간한 ‘중국경제 3분기 평가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중국 경제는 성장률이 계속 낮아지고 있지만 급격한 추락 위기에서는 벗어난 모습이다.
올해 3분기의 중국 경제 성장률은 7.3%로,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을 받았던 2009년 1분기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반면 시장 전망치였던 7.2%를 넘어서면서 ‘경착륙 우려감’을 다소 완화시켰다.
경제성장률이 시장 전망치를 웃돌 수 있었던 건 미국과 유럽연합 등 선진국 시장의 경기회복에 힘입어 수출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하지만 지난해 13.1%를 기록한 중국의 소매 판매 증가율은 지난달 현재 11.9%로 낮아졌고 고정자산 투자 증가율도 작년 19.7%에서 최근 16.1%로 둔화했다.
특히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중국 경제의 성장이 더딘 흐름을 보일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올해 중국 정부의 목표치인 7.5%를 달성하지 못한 채 7% 초반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중국 경제의 성장률 둔화에도 우리의 대 중국 수출은 단기적으로 큰 충격을 받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이 수출을 회복하면서 부품과 중간재를 주로 중국에 공급하는 우리의 대 중국 수출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대중 수출 증가가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신흥국 경기침체 등 대외 경제가 불확실한 데다 중국의 경제자급률 확대 정책에 따라 수출 둔화가 가속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7일 발간한 ‘중국경제 3분기 평가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중국 경제는 성장률이 계속 낮아지고 있지만 급격한 추락 위기에서는 벗어난 모습이다.
올해 3분기의 중국 경제 성장률은 7.3%로,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을 받았던 2009년 1분기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반면 시장 전망치였던 7.2%를 넘어서면서 ‘경착륙 우려감’을 다소 완화시켰다.
경제성장률이 시장 전망치를 웃돌 수 있었던 건 미국과 유럽연합 등 선진국 시장의 경기회복에 힘입어 수출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하지만 지난해 13.1%를 기록한 중국의 소매 판매 증가율은 지난달 현재 11.9%로 낮아졌고 고정자산 투자 증가율도 작년 19.7%에서 최근 16.1%로 둔화했다.
특히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중국 경제의 성장이 더딘 흐름을 보일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올해 중국 정부의 목표치인 7.5%를 달성하지 못한 채 7% 초반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중국 경제의 성장률 둔화에도 우리의 대 중국 수출은 단기적으로 큰 충격을 받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이 수출을 회복하면서 부품과 중간재를 주로 중국에 공급하는 우리의 대 중국 수출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대중 수출 증가가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신흥국 경기침체 등 대외 경제가 불확실한 데다 중국의 경제자급률 확대 정책에 따라 수출 둔화가 가속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