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식·민병주 의원 국감자료…”전담인력 확충해야”
국민 안전과 직결되는 원자력발전소의 사이버보안 체계가 지나치게 허술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8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원식(새정치민주연합)·민병주(새누리당)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으로부터 각각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최근까지 국내 원전에 대한 해킹 시도는 1천843회에 달했다.
실제 보안시스템이 뚫려 피해가 발생한 사례는 없었지만 개인정보 유출로 곤욕을 치른 금융기관처럼 원전도 해킹의 ‘성역’이 아니라는 사실이 새삼 확인된 것이다.
하지만 원전 현장에서는 여전히 사이버보안에 대해 안일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어 해킹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크다.
한수원 자체 점검 결과, 원전 내 컴퓨터의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거나 허가받지 않은 USB를 무단 사용하는 등의 부적절한 행위가 적발됐다.
아울러 백신 프로그램 업데이트 미수행, 백업파일 및 관리자 페이지 노출 등 작지만 중요한 보안 규정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국내 24기 원전에서 사이버보안을 담당하는 인력이 한수원 전체 직원(1만9천693명)의 0.26%인 53명에 불과하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그것도 35명은 겸직이어서 제대로 보안업무를 수행한다고 볼 수 없다.
최원식·민병주 의원은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은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로 한치도 소홀히 할 수 없다”며 사이버보안 기강 확립과 전담 인력 확충을 요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