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금할때 슬기에게 천원씩…인터넷뱅킹 ‘기부천사’ 50만명

송금할때 슬기에게 천원씩…인터넷뱅킹 ‘기부천사’ 50만명

입력 2014-06-09 00:00
수정 2014-06-09 09: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슬기는 5살 여자아이다. 깊은 시골에서 할머니와 단둘이 지낸다.

이미지 확대
“인터넷뱅킹으로 슬기를 도와주세요”
“인터넷뱅킹으로 슬기를 도와주세요” 인터넷뱅킹을 통한 기부 문화가 확산하고 있다. 사진은 우리은행 인터넷뱅킹의 기부 프로그램 ‘우리사랑e나눔터’에 사연이 소개된 슬기와 할머니. 5살 슬기는 할머니와 시골에서 단 둘이 지내고 있다.
우리은행 제공
몸이 불편한 할머니는 정부에서 받는 얼마 안 되는 보조금 외에 달리 생계 수단이 없다.

낡디낡은 집 한 칸이 전부인 슬기는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면 그야말로 막막해진다.

할머니는 잠든 슬기를 볼 때마다 밭고랑처럼 패인 주름이 더 깊어진다. “(슬기) 스무 살 될 때까지만 먹여놓고 죽으면 좋겠어….”

할머니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슬기는 해맑기만 하다. 슬기는 유난히 꽃을 좋아한다.

이런 슬기에게 작은 도움이나마 줄 방법은 없을까. 뜻밖에도 인터넷뱅킹이 있다.

인터넷뱅킹은 일상이 됐다. 우리나라 인터넷뱅킹 등록 고객은 1억명(은행별 중복 합산)에 이른다. 송금은 물론 예·적금, 펀드, 보험에도 가입할 수 있다.

인터넷뱅킹으로 할 수 있는 게 또 있다. 슬기 같은 어린이의 한 끼를 해결해줄 수 있고, 질병에 걸린 아프리카 난민에게 약을 보낼 수도 있다.

우리은행이 2010년 은행권 최초로 인터넷뱅킹을 통한 기부 프로그램을 도입한 뒤로 국민·신한·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이 비슷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이 가운데 우리은행의 ‘우리사랑e나눔터’의 기부 열풍이 뜨겁다. 지난달까지 약 18억원의 기부금이 인터넷뱅킹으로 전달됐다.

2010년 도입한 신한은행의 ‘기부천사’가 7천만원, 하나은행의 ‘하나더나눔’(2011년 도입)과 국민은행의 ‘희망별’(2014년 도입)은 8천만원을 모았다.

인터넷뱅킹 기부는 후원금을 한꺼번에 내도 되고, 정기적으로 계좌에서 후원금이 빠져나가도록 해도 된다.

특히, 우리은행은 인터넷뱅킹으로 이체할 때마다 소액을 기부하는 ‘이체시마다 후원’ 방식을 도입해 눈길을 끈다.

43개월동안 매일 평균 400명이 우리은행 인터넷뱅킹으로 약 2천원씩 기부를 했다. 누적 기부 고객은 약 50만명에 80만건이다.

기부 대상도 지정할 수 있다. 인터넷뱅킹 홈페이지 첫 화면의 나눔터에 들어가면 슬기를 비롯한 아동·청소년, 독거노인 등의 사연이 올라와 있다.

굿네이버스, 대한적십자, 월드비전 등을 통해 국제 구호활동을 지원하고 물을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곽상일 우리은행 스마트금융사업단장은 9일 “올해 하반기부터 스마트뱅킹도 나눔터 서비스를 적용해 더 많은 고객이 동참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우리은행 홈페이지(www.wooribank.com)의 우리사랑e나눔터에 들어가면 슬기를 비롯해 도움을 기다리는 사연을 접할 수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