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경량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 무게 40% 줄여 효율 크게 개선
삼성SDI가 세계 최대 전기차 수요처인 미국 공략을 위해 미국 자동차 ‘빅3’ 중 하나인 포드와 손을 잡았다. 포드는 통상적으로 경쟁사인 LG화학의 협력사로 알려져 있다. 포드를 파트너로 삼았다는 것은 삼성SDI가 그룹의 신성장 동력인 배터리 사업 육성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방증이다.
양사는 또 12V 납축배터리와 결합해 탑재할 수 있는 ‘듀얼 배터리 시스템’ 개발도 병행하기로 했다. 이 시스템은 일반 자동차의 회생제동 시스템에 적용해 연비를 개선하고 각종 첨단 전장 시스템을 가동할 수도 있다. 회생제동 시스템은 감속하거나 내리막길 주행 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리튬이온 배터리에 재충전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포드도 4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테크숍에서 미디어 행사를 열어 삼성SDI와의 사업 협력을 발표했다. 테드 밀러 포드 자동차배터리 R&D 책임자는 “공동 개발할 배터리 시스템이 획기적인 연료 절감과 자동차의 하이브리드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포드가 2차전지 공급 업체를 기존과 LG화학에서 삼성 SDI로 배터리쪽 파트너를 다변화한 데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한 관계자는 “아무래도 삼성 계열사는 정보기술(IT) 쪽으로 전문성이 강하기 때문에 포드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일본 2차전지 전문 조사기관인 B3에 따르면 삼성SDI의 소형 2차전지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25.8%로 4년 연속 세계 1위를 지켰다. 하지만 중대형을 포함한 전체 2차전지 시장에서는 3위에 그쳤다. 글로벌 2차전지 시장은 LG화학(29.3%)과 AESC(27.6%·일본), 삼성SDI(18.4%), 파나소닉(13.9%) 등 4개사가 각축을 벌이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 사업은 2010년 삼성그룹이 선정한 5대 신수종 사업 중 하나다. 이후 독일 완성차 메이커인 BMW를 비롯해 미국의 크라이슬러, 인도의 마힌드라 등과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 계약을 잇따라 체결하며 사업 육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또 올 1월엔 중국 산시성과 향후 5년간 6억 달러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기로 협약을 맺기도 했다.
삼성SDI가 사업에 고삐를 죄는 이유는 시장 전망이 장밋빛이기 때문이다. 올해 240만대 규모의 전기차 시장은 내년 320만대, 2017년 550만대, 2020년 800만대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연평균 성장률이 22%에 달한다. 배터리는 전기차 제조원가의 40%가량을 차지하는 핵심 부품이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6-0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