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比 6.4%↑… 증가율 여전히 상승세
한국은행은 올 3월 말 현재 가계빚이 1024조 8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가계대출이 967조 6000억원, 카드 결제금 등 판매신용이 57조 2000억원이다. 통상 연초에는 카드 씀씀이가 줄어드는 까닭에 판매신용이 지난해 말보다 1조 2000억원 줄었다. 가계대출은 같은 기간 4조 7000억원 늘어 전체 가계빚은 3조 4000억원 증가했다.
그렇다고 가계빚 증가세가 꺾였다고 보기에는 이르다. 대출 증가액은 줄었지만 증가율 자체는 여전히 상승세이기 때문이다. 1분기 가계빚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4% 늘었다. 2012년 1분기(7.1%)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이 차장은 “지난해 1분기 가계빚이 그 직전에 끝난 세제 혜택 종료 영향 등으로 감소한 탓에 기저효과가 작용했다”면서 “2010~11년에는 증가율이 8~10%였던 것과 비교하면 지금의 5~6%는 높은 수준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임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일자리를 창출해 소득을 늘려주는 것이 가계빚의 근본 해법이지만 당장 이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라면서 “저신용·저소득층 대출시장만 해도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는 만큼 시장이 조성될 때까지 정부가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여 금융시장의 실패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5-2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