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 8.2%… 200만 넘어
지난해 청년(만 15~29세) 중 대졸자(전문대 제외)의 실업률이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다. 4년제 대학을 나오고도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인구가 200만명을 넘어선 점을 감안하면 대졸자의 취업에 대한 정부 대책이 시급하다.13일 통계청에 따르면 청년 대졸자의 지난해 실업률은 8.2%로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007~2008년 6%대였던 청년 대졸자 실업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09~2011년 7%대로 뛰어올랐고 2012년 8.1%로 증가했다. 반면 지난해 청년 중 전문대를 졸업한 이들의 실업률은 6.4%였다. 2012년보다 0.4% 포인트 올랐지만 2011년과 같은 수준이다. 청년 중 고졸자의 실업률도 8.8%로 2009년(9.4%) 이후 5년 만에 최고치였지만 청년 대졸자처럼 역대 최고치는 아니었다. 특히 지난해 대졸자 중 비경제활동인구는 207만 1000명으로 200만명을 넘어섰다. 2000년대부터 대졸 진학률이 80%를 넘어선 데 따른 현상이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부 교수는 “고용을 늘리려면 지금과 같이 수출 및 제조업 중심의 ‘양극화 성장’이 아니라 고용 창출력이 좋은 내수, 서비스업, 중소기업의 성장을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4-02-1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