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25일 공단 정상화를 위한 남북 실무회담이 사실상 결렬되자 크게 실망한 표정이었다.
한재권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비대위 사무실에서 “이전 회담 때는 합의를 못 해도 다음 회담일정이 잡혀 있어 대화가 계속 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이제는 정말 갑갑한 심경”이라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그동안 비대위에서 기업들을 추스르며 이끌고 왔는데 이제 기업들도 한계점에 다다랐다”면서 “정부가 중대 결심을 하겠다는데 이제는 기업들도 중대 결심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기업인들은 공단 사태 장기화로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는 등 더 버틸 여력이 없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문창섭 공동 비대위원장은 “정부가 이번 사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상황을 잘 설명하고 정상화가 될 때까지 지원해주면 기업들이 계속 기다릴 수 있지만 4개월 동안 일감 없이 비용만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너무 힘들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남북 양측이 조금씩 양보해 절충안을 찾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옥성석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은 “합의도 못 하고 다음 일정도 없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했다”면서 “합의문 내용이 남북 양측이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내용이었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성현상 만선 사장은 “양 정부가 회담에 진실성이 가지고 접근하면 재발방지는 어렵지 않게 타결될 수 있을 텐데 양측이 국민을 설득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정상화에 합의하면 좋겠다”라고 지적했다.
비대위는 26일 전체회의를 소집해 회담 결렬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고 향후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한재권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비대위 사무실에서 “이전 회담 때는 합의를 못 해도 다음 회담일정이 잡혀 있어 대화가 계속 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이제는 정말 갑갑한 심경”이라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그동안 비대위에서 기업들을 추스르며 이끌고 왔는데 이제 기업들도 한계점에 다다랐다”면서 “정부가 중대 결심을 하겠다는데 이제는 기업들도 중대 결심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기업인들은 공단 사태 장기화로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는 등 더 버틸 여력이 없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문창섭 공동 비대위원장은 “정부가 이번 사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상황을 잘 설명하고 정상화가 될 때까지 지원해주면 기업들이 계속 기다릴 수 있지만 4개월 동안 일감 없이 비용만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너무 힘들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남북 양측이 조금씩 양보해 절충안을 찾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옥성석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은 “합의도 못 하고 다음 일정도 없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했다”면서 “합의문 내용이 남북 양측이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내용이었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성현상 만선 사장은 “양 정부가 회담에 진실성이 가지고 접근하면 재발방지는 어렵지 않게 타결될 수 있을 텐데 양측이 국민을 설득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정상화에 합의하면 좋겠다”라고 지적했다.
비대위는 26일 전체회의를 소집해 회담 결렬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고 향후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