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硏 “車·철강 피해 커”
원·엔 환율이 1% 떨어지면 우리 수출액은 1조여원 주는 것으로 조사됐다.산업연구원은 18일 ‘엔화 약세와 한국 산업’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원·엔 환율이 1% 하락하면 같은 해 총수출은 0.18%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따라서 연간 수출액을 5500억 달러로 가정할 때 그 피해액은 9억 9000여만 달러(약 1조원)로 추산된다. 지난 2월 말 기준 원·엔 환율은 지난해 6월 초보다 23.5% 하락했다. 따라서 이 기간 수출에 대한 유·무형의 피해는 232억 달러(약 24조원)에 이를 것으로 연구원은 추정했다.
보고서는 또 자동차와 철강, 가전, 섬유 등 4개 산업이 상대적으로 엔저의 부정적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분석했다. 수출의 비중이 높고 한·일 간 경쟁력 차이도 크지 않아서다. 대표 품목으로는 소형차와 판재류, 디지털TV, 화섬직물 등이 꼽혔다. 반면 정보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 반도체, 석유화학, 조선 등은 부정적 영향이 미미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엔저 현상이 장기간 지속되면 일본 기업이 채산성·경쟁력 개선을 통해 우리 주력 품목 분야에 재진입하면서 부정적 영향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보고서는 올 연평균 원·엔 환율이 지난해 평균보다 16.7% 하락한 1170원대에 그칠 것이란 예측을 내놓았다. 현재 수준보다 더 떨어질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는 셈이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정부는 급격한 환율 변동을 억제하는 노력을 하고, 기업은 수출구조 고도화와 자유무역협정(FTA) 활용으로 가격경쟁력을 회복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3-03-1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