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고층 건물은 ‘해운대 위브더제니스’

국내 최고층 건물은 ‘해운대 위브더제니스’

입력 2012-02-16 00:00
수정 2012-02-16 11: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80층으로 69층 도곡동 타워팰리스 눌러국토부, 2011년 건축물 현황 통계 발표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은 부산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로 조사됐다.

또 주거용 건축물 연면적의 절반은 수도권에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2011년 건축물 현황 통계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은 부산 해운대에 있는 80층 높이의 두산위브더제니스 주상복합아파트로 조사됐다.

2010년에는 서울 목동 하이페리온과 도곡동 타워팰리스가 69층으로 가장 높았으나 작년 12월 해운대 위브더제니스가 입주하면서 이를 앞지른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 잠실 제2롯데월드 등 100층이 넘는 건축물이 속속 들어설 예정이어서 머지않아 이 순위는 바뀔 전망이다.

인천에서는 송도 더샵퍼스트월드, 경기도에서는 화성시 메타폴리스 A동이 각각 64층, 66층으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의 건축물은 673만1천787동, 32억9천510만5천㎡로 서울시 면적의 5배에 달했다.

용도별로는 주거용이 전체의 67.3%인 452만9천464동, 상업용이 17%인 114만2천766동, 공업용이 3.8%인 25만8천744동 등이다.

수도권의 건축물 동수는 189만3천222동으로 전국의 28.1%에 불과했지만 연면적은 15억1천300만㎡로 전국의 45.9%를 차지했다.

특히 수도권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 대규모 신도시 개발 등의 영향으로 동수는 전국의 27.1%였지만 연면적은 전국의 절반(49.2%) 수준이었다.

전국의 주거용 건축물(연면적 기준) 중에서 아파트가 전체의 51.7%를 차지했고 단독주택이 16.4%, 다가구주택 6.7%, 다세대주택 5%, 연립주택 2%였다.

25년 이상 노후화된 건물은 수도권이 57만1천여동으로 수도권 전체 동수의 30.2%, 비수도권은 219만3천여동으로 45.3%를 차지해 비수도권의 건축물이 상대적으로 노후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15년 미만인 건축물이 전체의 40%가 넘어 신규 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인당 주거용 면적은 36㎡로 2010년과 같았다. 1인당 주거용 면적은 1990년 9㎡에서 2000년 25㎡로 증가했으며 2010년부터 36㎡를 유지하고 있다.

건축물 현황 통계는 이달 20일부터 국토해양부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연합뉴스

김경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20년 근속자와 신입 급여 동일선...호봉제 도입 절실”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묵묵히 국민과 시민의 보편체육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생활체육지도자의 헌신을 기억하며, 이들에 대한 실질적인 처우개선 정책 실행을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현장에서 생활체육지도자들의 현실을 들어보면 정당한 보상조차 이뤄지지 못한 일들이 많다”라고 강조하면서, 생활체육지도자들의 “20년을 일해도 신입과 급여가 같아 생계유지가 어렵다”라는 호소에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2025년도 4월을 기준으로 도봉구, 마포구, 송파구 3개 자치구는 공무원보수규정을 준용해 생활체육지도자에 대한 호봉제를 시행하는 등 자체적으로 처우개선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을 볼 때 서울시도 기계적인 보조금 집행만으로 제 할 일 다했다고 자부할 게 아니라 생활체육지도자의 사기를 저해하는 요인을 점검하고, 이를 혁파해 시민들의 생활체육 환경이 지속해서 개선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해야 할 때”라고 언급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현재 단일급 체계로 급여를 받는 생활체육지도자들에게는 직업 활동이 어떠한 유인도 자극도 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라고 콕 짚어 이야기하면서 “지금과 같은 급여 구조로는 돈은 돈대로 쓰면서 성과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20년 근속자와 신입 급여 동일선...호봉제 도입 절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