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지난해 4분기 우리나라의 대외 교역조건이 악화됐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4분기 대외 교역조건을 나타내는 ‘순상품 교역조건지수’가 84.1(2005년 기준치 100)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1% 하락했다고 14일 밝혔다. 순상품 교역조건지수는 수출단가지수를 수입단가지수로 나눈 값이다. 상품 한 단위를 수출한 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나타낸 것으로, 지수 하락은 교역조건의 악화를 뜻한다.
4분기 교역조건이 나빠진 것은 수입단가가 수출단가보다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수입단가지수는 8.9% 올라 수출단가지수의 상승률(6.6%)을 웃돌았다.
한은 측은 “수입단가의 경우 자본재가 내렸지만, 원자재값이 많이 올라 전체적으로 상승했다.”면서 “수출단가는 기계류와 정밀기기, 반도체 등이 하락해 상승 폭이 작아졌다.”고 말했다. 수출물량지수와 수입물량지수는 각각 17.2%, 13.5% 상승해 전분기보다 수출을 중심으로 교역량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순상품 교역조건지수는 2009년보다 0.3% 하락해 교역조건에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한국은행은 지난해 4분기 대외 교역조건을 나타내는 ‘순상품 교역조건지수’가 84.1(2005년 기준치 100)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1% 하락했다고 14일 밝혔다. 순상품 교역조건지수는 수출단가지수를 수입단가지수로 나눈 값이다. 상품 한 단위를 수출한 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나타낸 것으로, 지수 하락은 교역조건의 악화를 뜻한다.
4분기 교역조건이 나빠진 것은 수입단가가 수출단가보다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수입단가지수는 8.9% 올라 수출단가지수의 상승률(6.6%)을 웃돌았다.
한은 측은 “수입단가의 경우 자본재가 내렸지만, 원자재값이 많이 올라 전체적으로 상승했다.”면서 “수출단가는 기계류와 정밀기기, 반도체 등이 하락해 상승 폭이 작아졌다.”고 말했다. 수출물량지수와 수입물량지수는 각각 17.2%, 13.5% 상승해 전분기보다 수출을 중심으로 교역량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순상품 교역조건지수는 2009년보다 0.3% 하락해 교역조건에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1-02-15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