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매출 40조 돌파 안팎
삼성전자가 대외적인 악조건 속에서도 역대 두 번째로 높은 4조 8000억원의 3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하면서, 국내 기업 가운데 사상 첫 연간 영업이익 ‘20조원 클럽’에 가입할지 관심이 모아진다. 그러나 본격적인 실적 악화가 우려되는 4분기 이후 대비 전략도 주목된다.
실제로 세계적으로 수요가 가장 많은 32인치 LCD TV용 패널은 지난 4월 208달러에서 현재 163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대표 상품인 1기가비트(Gb) DDR3 D램 반도체 역시 올 2분기에 개당 2.81달러까지 올랐으나, 지금은 2.44달러까지 떨어졌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2분기 실적이 워낙 좋았던 것도 있었고, 최근 선진국들의 수요 부진으로 반도체와 LCD 시황이 좋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정도면 선방한 편”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의 1~3분기 누적 영업이익이 14조 2200억원에 달하면서 연간 영업익 20조원 돌파 여부도 관심을 끌지만, 일단 실현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견해다.
전자업계에서는 여름 휴가철 특수가 반영되는 3분기를 최고 성수기로 분류한다.
4분기(9~12월)에도 ‘블랙 프라이데이’(북미지역 추수감사절 전후 쇼핑시즌)와 크리스마스 등이 있지만, 막바지 물량공세를 위해 마케팅 비용을 늘리면서 영업이익은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매출이 39조 2500억원으로 전 분기(35조 8900억원)보다 9.3%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3조 4400억원으로 3분기(4조 2200억원)에 비해 18.5% 줄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분기 매출이 처음으로 40조원을 넘기며 글로벌 시장에서 확고한 지배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았다. 반도체와 LCD, TV 등의 단가가 떨어졌는데도 매출이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물량을 많이 내다 팔았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시장조사기관인 NPD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미국 3D TV 시장에서 올 들어 8월까지 86.3%(수량 기준)의 판매점유율을 기록했다. 미국에서 팔린 3D TV 5대 중 4대는 삼성 제품이었던 셈이다. 수익성이 좋은 스마트폰 갤럭시S도 출시 4개월 만에 500만대가 넘게 팔리며 휴대전화 부문 영업이익률을 두 자릿수로 끌어올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는 올해 안에 평판TV를 연간 4500만대 이상, 갤럭시S를 1000만대 이상을 팔아 4분기 이후 예상되는 반도체 부문 부진을 메운다는 계획이다. 모바일용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도 늘려 매출 하락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김영찬 신한금융투자 수석연구원은 “반도체와 LCD 가격이 내년 초부터 상승하면서 올해 4분기에 바닥을 치고 내년 1분기부터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0-10-0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