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고용 5년째 ‘제자리’

10대 그룹 고용 5년째 ‘제자리’

입력 2010-01-16 00:00
수정 2010-01-17 10: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주요 기업들이 최근 고용을 늘리겠다고 잇따라 공언하고 있지만 실제 국내 10대 그룹의 고용은 5년째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상장사협의회에 신고된 계열사별 고용인원을 종합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현재 삼성과 LG,현대중공업,현대차,포스코,롯데,한진,GS,SK,금호아시아나 등 10대 그룹은 모두 44만5천159명을 고용하고 있다.

 이는 전년도 말보다 겨우 0.77%가 증가한 수치다.

 연도별 10대 그룹의 고용인원은 2005년 43만9천776명,2006년 44만2천667명,2007년 43만6천617명,2008년 44만1천739명 등을 각각 기록했다.결국 해마다 전년도에 비해 고용 인원이 1% 남짓 늘거나 주는 모양새로 2005년부터 2009년 3분기까지 약 5년간 1.22%가 증가하는데 그쳤다.

 전체적으로는 고용이 감소한 곳(4개 그룹)보다 증가한 업체(6개 그룹)가 더 많았다.그러나 고용이 늘어난 그룹의 경우 증가세가 소폭(최고 18%)에 그친 반면 고용이 줄어든 기업의 감소율은 최고 31%를 기록하는 등 큰 폭의 인원 감축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별로는 GS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이 회사는 2005년 4천629명에서 2009년 3분기 5천468명으로 18.12%가 늘었다.대우건설을 인수해 계열사가 추가된 금호아시아나도 9.85%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여기에 현대중공업(4.46%),삼성(4.99%) 등도 소폭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SK는 2005년 1만5천603명에서 2009년 3분기 1만764명으로 고용인원이 감소했고 롯데도 같은 기간 2만9천180명에서 2만2천25명으로 24.5%가 줄었다.

 현대경제연구소의 정유훈 선임연구원은 “사실 대기업은 사업이 고도화·안정화돼 경기가 호황일 때도 고용인원이 크게 늘어나거나 하지는 않는다”면서 “전체적인 일자리를 늘리려면 전체 고용인구의 80~90%를 책임지는 중소기업에 정부 정책의 초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18일 한국프레스센터 매화홀(19층)에서 개최된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포럼은 서울연구원이 주최하고, ‘신정부의 ESG 정책 기조와 서울시 ESG 경영 추진방향’을 주제로 ESG 경영 선도 도시 구현을 위한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관·산·학·연·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울시 ESG 경영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포럼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서울연구원 오균 원장, 서울시 120다산콜재단 이이재 이사장, 지속가능경영학회 김영배 회장, ESG 콜로키움 김영림 의원대표(동작구의원), 서울시의회 박상혁 교육위원장과 장태용 행정자치위원장, 용산구의회 이미재·김송환 의원, 종로구의회 김하영 의원, 강동구의회 강유진 의원 등이 참석했으며, 서강대학교 송민섭 교수,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종오 사무국장, 한국ESG평가원 손종원 대표, 국제사이버대학교 김수정 교수, 공기관 및 시민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의원은 축사에서 “기후위기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가 심화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